장례절차HOME > 장사 > 장사문화 > 장례절차

현대에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3일 장을 기본으로 하므로 사망 후 당일로 수시를 행하게 되고 사망한 다음날 습을 행하며 습이 끝나면 바로 소렴을 하고 입관까지 하게 되어 염습의 과정이 2일째 한꺼번에 이루어지고, 3일째 발인을 하게 된다.

장례절차

  1. 1. 임종준비

    임종은 운명할 때 곁에서 지켜보는 것이다.

    [준비물] 깨끗한 옷, 솜, 끈(혹은 붕대), 녹음기(필기도구), 각 종교 의례에 따른 도구

  2. 2. 장례 준비

    운명을 하게 되면 눈을 감겨 드리고 나서 복을 행하니 최근에는 도시 주택이나 아파트에서는 생략하기도 한다. 사잣밥을 놓기도 하며, 장례 치를 준비를 시작한다.

    • 복(復) : 초혼(招魂)이라고도 한다. 운명 후 평소에 입던 윗옷을 가지고 안방 문 앞 추녀 밑에서 북쪽을 향해 생시호칭(生時呼稱)으로 "아무개 복"하고 세 번을 부른 뒤 지붕을 향해 던졌다가 잠시 후 그 옷을 내려 시신 위에 덮고 홑이불을 덮는다.
    • 장례 준비 : 사망에 따른 진단서 및 인우 증명서 발급과 작성, 매장이나 화장시 절차, 장례를 전반적으로 이끌어 나갈 호상 선정, 종교적인 의례에 따른 장례방법, 장례용품의 선정, 손님접대 등의 준비를 한다.
      • - 사망진단서나 인우증명서 발급
      • - 매장이나 화장 시의 절차 및 서류
      • - 호상 선정 : 집안의 어른이나 범절에 밝은 사람을 선정하여 장례 전반에 관한 결정이나 의논을 하도록 한다. 호상은 상주가 장례에 관한 일로 신경을 쓰지 않도록 장례절차에 따라 안내하는 사람을 지정하고 일을 지휘하며, 부고를 하고 금전의 지출도 결정하는 등 제반 업무를 맡아서 하는 것이다.
      • - 장의사 선정, 장례방법, 용품선정, 손님접대에 관한 준비를 한다.
  3. 3. 수시(收屍)

    [준비물] 수시복, 탈지면, 끈, 수건, 홑이불, 환자용 기저귀, 병풍, 상, 촛대(초), 향로(향), 사진, 긴 자

    임종을 맞이하면서 탈지면, 붕대나 끈(면이나 베, 또는 종이), 홑이불 등을 준비 하여 운명 후의 수시에 대비한다.

    수시란 시신을 바르게 한다는 뜻으로 시신이 굳어지기 전에 수족을 골고루 주물러 굽힘이 없이 바르게 펴고 묶어 주는 절차를 말한다. 환자가 무릎이나 다른 부위가 굽어진 상태로 운명하였을 경우 수의를 입히거나 입관시킬 때 어려움을 겪게 되므로 임종 후 바로 반듯이 해 주어야 한다.

    1. 운명을 확인하고 나면 먼저 눈을 감기고 배설물을 치운 후 몸을 깨끗이 한다.
    2. 몸이 굳어지기 전에 팔다리를 반듯이 편다. 이미 굳어져 잘 펴지지 않으면 더운 물이나 따뜻한 수건으로 주물러 잘 펴지도록하여 반 듯하게 한 다음 정갈한 옷(수시복, 수세복)으로 갈아 입힌다. 수시복은 이때를 대비해 평소에 준비해 놓은 옷이나 고인이 입던 옷 중에서 깨끗하고 편안한 옷을 이용해도 좋으며, 운명시의 옷이 정갈하다면 그대로 이용하기도 한다. 예부터 내려오거나 특별히 정해져 있거나 권장되고 있는 수시복은 없다고 하겠다.
    3. 머리를 낮은 베개로 반듯하게 괴이고 동쪽으로 향하게 한다.
    4. 두 팔과 손을 바르게 펴서 배 위에 공수한 모양으로 올려놓은 다음 끈을 이용하여 동여맨다. 동여맬 때는 양끝을 합쳐서 매듭을 짓지 않고 끈을 몇 번 비틀어서 한쪽으로 끼워 놓는다. 끈을 풀 때 잡아당기기만 하여도 풀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5. 양 어깨, 팔꿈치, 무릎과 정강이 부위를 동여맨다.
    6. 발목을 정상으로 굽혀서 고정시켜 동여매고 지금까지 맨 방향과 직각으로 하여 손의 끈과 연결하여 준다. 두 손의 엄지가락과 두 발의 엄지가락을 묶어 수족의 끈을 마주 잡아매기도 한다.
    7. 시신을 수세포(홑이불)로 덮은 후 머리와 다리 부분의 이불을 안쪽으로 말아 마무리하고 벽 쪽으로 모신다.
    8. 병풍으로 시신을 가리고 상을 차린 다음 고인의 사진을 올려놓고 촛대와 향로를 놓은 다음 촛불을 켜고 향을 피운다.
  4. 4. 발상

    초상(사람이 죽어 장례를 치르는 것)이 났음을 알리고 장례준비를 하는 것이다. 수시가 끝난 후 검소한 옷차림을 하고 "근조(謹弔)" 라고 쓴 등이나 "상중(喪中)", "기중(忌中)"이란 글을 대문에 붙여 상이 났음을 알린다.

  5. 5. 부고

    가까운 친척과 친지들에게 상이 났음을 알리는 것으로 호상이 상주와 의논하여 진행하며, 사망시간 및 장소, 발인일시, 발인장소, 장지, 상주와 상제 등을 기록한다.

  6. 6. 염습

    [준비물] 수의, 대야, 수건(탈지면), 목욕물(향 물, 알코올), 칼, 불린 쌀, 나무로 만든 수저, 구슬(혹은 동전), 관(관보, 명정 등), 망치, 보공 용품 (최근에는 두루마리 휴지를 사용하기도 함)

    습(襲)이란 원래 의복을 겹쳐 입는 것을 의미한다고도 하나, 최근에는 옷을 겹쳐 놓고 시신을 목욕시킨 후 수의를 입히는 절차를 말하며 소렴은 수의를 입힌 다음 매장포(埋葬布)로 시신을 싸서 단단히 동여매는 절차이며, 대렴은 입관시키는 것이다. 최근에는 사망 다음날 염습이라 하여 습과 소렴, 대렴이 한꺼번에 이루어 지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가. 수의

    1. 수의의 재질 : 삼베, 명주, 면(혹은 인견), 한지 등

    • 수의의 재질은 삼베나 명주, 면 등이나 최근 에는 주로 삼베가 이용 되고 있다. 그러나 화장일 경우 값비싼 삼베로 만든 것 보다 면이나 한지 등의 재질 이용은 보기에도 좋으며 환경 친화적인 수의를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 새로 만들 경우 평소의 치수보다 크고 넉넉하게 제작하나, 평시 좋아하던 옷이나 결혼할 때에 입었던 옷, 직책에 따른 관복 등을 이용하기도 한다.

    2. 수의의 품목

    • 남자 수의 : 심의나 도포, 저고리와 적삼, 바지와 속바지, 복건, 행전 등
    • 여자 수의 : 원삼이나 두루마기, 저고리와 적삼, 바지와 속바지(단속곳), 치마와 속치마, 여모
    • 공용 수의 : 명목, 악수, 버선, 신, 오낭, 이불(소렴금, 대렴금), 천금, 지요, 베개, 포(최근에는 염포) 등
    • 남자 수의 품목은 겉옷으로 심의나 도포가 있으며, 윗옷으로는 두루마기, 저고리와 적삼이 있다. 아래옷은 바지와 속바지, 행전 등이며, 머리에 쓰는 복건이 있다.
    • 여자 수의는 겉옷으로 원삼이나 두루마기가 있으며, 윗옷은 저고리와 속적삼, 아래옷은 바지와 속바지(단속곳), 치마와 속치마가 있고 머리에 쓰는 여모가 있다.
    • 공용으로는 명목(얼굴 싸개), 악수(장갑), 버선, 습신(수의신발), 오낭 (다섯 개의 주머니), 대렴금, 소렴금, 천금(이불), 지요, 베개, 염포 등이 있으나 집안이나 지방에 따라 가감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나. 습(襲)
    1. 옷을 입힐 때 가능한 시신을 덜 움직이고 한번에 옷을 입힐 수 있도록 속옷을 겉옷에 끼워 넣어 입히기 좋게 겹쳐 입히는 순서대로 놓는다.
    2. 병풍을 걷어낸다.
    3. 홑이불을 한쪽에서 들도록 하고 수시 할 때 동여매었던 끈을 푼다. 풀어낸 끈은 밑에서 한 곳으로 몰아 한꺼번에 빼낸다.
    4. 수시복을 벗겨 낸다.
    5. 목욕을 시킨다.
      목욕을 시키는 물은 향 물 혹은 깨끗한 물이나 알코올을 사용한다.
      탈지면이나 수건(타월)에 목욕물을 적시어 발부터 거슬러 올라가며 몸, 상체, 팔, 손 순서로 닦아낸다.
      얼굴은 수의를 입힌 후에 씻기고 반함을 한다.
    6. 양쪽 손톱을 깎아서 주머니에 담아 악수를 하고, 발톱을 깎아 주머니에 담고 버선을 신긴다.
    7. 아래 옷(남자는 바지, 여자는 속바지와 치마)을 입힌다.
    8. 윗옷을 입힌다.
    9. 수의를 잘 여며 마무리하고 습신을 신긴다.
    10. 얼굴을 씻기고 머리를 감긴 후 반함을 한다. 반함이란 쌀이나 구슬을 입안에 물리는 것으로, 입안을 깨끗이 닦아낸 다음, 쌀을 떠서 입에 넣는데 오른편, 다음에 왼편, 그리고 가운데를 넣는다, 구슬도 똑같은 방법으로 물린다.
    11. 반함이 끝나면 충이를 하고 명목으로 얼굴을 감싼다.
    12. 머리카락을 담은 오낭을 복건이나 여모 속에 넣고 씌운다.
    13. 얼굴이 움직이지 않도록 턱에 보공을 하기도 한다.

    다. 소렴(小斂)

    수의를 입힌 시신을 의금(依衾)으로 수렴한다는 뜻으로, 이불(소렴금)로 싸서 매포, 염포로 단단히 묶는 것이다.
    소렴금을 편 다음 지요와 베개를 깐다.시신을 들어 요 위에 옮긴 후 천금(이불)으로 덮는다. 이불 없이 소렴금으로 싸기도 한다.

    라. 대렴(大斂)

    시신을 관속에 입관시키는 과정을 말한다. 포로 싸서 입관시키기도 하나, 최근에는 관속에 염포를 깔고 요를 깐 후 시신을 옮긴 후 천금을 덮고 염포를 덮은 후 보공을 하고 관뚜껑을 덮은 후 명정과 관보를 씌우기도 한다. 영좌(靈座)를 설치하고 혼백(魂帛)을 둔다. 최근에는 사진으로 대신하는 것이 상례(常禮)이다. 병원에서 할 경우에도 본인이 평소에 준비한 수의가 있으면 이용할 수 있으며, 자손이 목욕시키고 수의를 입히는 것도 가능하다.

  7. 7. 성복(成服)

    [준비물] 상복, 성복제 지낼 제수용품

    • 성복제
      대렴이 끝나고 나서 상주들은 상복(喪服)을 입고 제물을 차리고 자손이 상주가 되었음을 고하는 성복제를 지내게 되며, 이때부터 손님을 받게 된다. 입관 후에는 아침 저녁 끼니에 밥, 국, 적, 반찬 등의 밥상 차림으로 상식을 올린다.
    • 상복
      예전에는 복친의 범위에 따라 착용하는 상복의 종류도 다르고 다양하였다. 그러나 현대에는 주로 남자는 검은 양복, 여자는 흰색이나 검은 색의 한복을 많이 착용하고 있으나 검은 색 양장을 하기도 한다. 상주임을 표시하는 표식을 하기도 한다. 그리고 평소에 준비해 둔 상복이 있으면 착용하기도 하며, 베로 만든 굴건제복(남자)이나 대수장군(여자)을 착용하기도 한다.
  8. 8. 발인 및 운구

    [준비물] 상복, 성복제 지낼 제수용품

    • 발인식
      망자가 집을 떠날 때 관 앞이나 영구차 앞, 장례식장에서 행하는 의식이다. 제물을 차려 놓고, 종교에 따라 제물을 생략하기도 하나, 일반적인 순서는 개회식, 각 종교에 따른 의례, 약력소개, 종교의례, 추도, 분향, 헌화, 폐회식의 순으로 진행한다.
    • 운구
      관을 들고나가는 것이다. 종교에 따라 명정이 앞서는 등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행렬의 순서는 성직자 및 성물을 든 사람이 인도하고, 사진이나 명정, 영구, 상주, 친척, 조문객 순으로 뒤를 따른다. 노제, 하관, 평토, 봉분의 시기에 따라 의례를 행하기도 하고 생략 하기도 한다.
    • 화장일 경우
      관을 인도하여 화장장까지 와서 화구(火口)에 모시면서 제사를 지내거나 각 종교에 따른 의례를 행한다. 화장이 끝나면 유골을 수습하여 쇄골 (碎骨: 유골을 분쇄하는 것)을 하여 산골(散骨: 자연으로 돌려 보내는 것)하거나 납골당 등에 봉헌하게 된다.
  9. 9. 장례 후 의례

    매장이나 화장으로 장례를 지내고 돌아와서 반혼제나 초우제, 재우 다음날 아침에 지내는 삼우제(최근에는 장례를 치른 후 3일째 되는 날 지내고 있다)를 지낸다. 졸곡, 소상, 대상, 담제, 길제가 행해지기도 하나, 최근에는 49일이나 100일에 탈상을 하는 경우가 많다. 종교에 따라 다른 의례를 행하기도 하고 생략하기도 한다.

  • 콘텐츠 관리부서노인복지과(061-286-5831)
  • 최근업데이트2015-09-25